티스토리 뷰
728x90
오늘 공부
- c 공부
- if 문 loop문
- 면접 때 sql 관련 질문 중에 프로시저가 무었인지 질문이 있었는데, 내가 아는 개념은 함수라는 개념으로 알고 있었는데, 면접관님께서 설명을 해주는 걸 들으니 다른 개념이라는걸 알게 되어, 오늘 기술 블로그를 찾아 정리를 해봄
커뮤니티 에서 물어 봤는데, 가장 큰 차이점은 함수는 리턴 값이 있는거고, 프로시저는 리턴 값이 없는거 라고 알면 가장 편하다고 전달 받음
프로시저도 리턴 값을 만들 순 있지만 굳이 만들 필요가 없다.
프로시저는 예약 동작을 걸어 놓고 call 명령어로 실행하는 개념
즉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명령을 꾸러미로 만든 함수를 의미
- 기술 블로그에서 본 관련 글
함수와 프로시저의 차이
프로시저 또한 매개변수를 받아 여러 작업을 수행하여 값을 반환할 수 있고,
함수 또한 매개변수를 받아 여러 작업을 수행하여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함수와 프로시저가 똑같은 것은 아닌데요.
지금부터 함수와 프로시저의 차이점에 대해서 나열하겠습니다.
의미
프로시저
일련의 쿼리를 마치 하나의 함수처럼 실행하기 위한 쿼리의 집합이며, 일련의 작업을 정리한 절차입니다.
보통 단독으로 실행해야 할 작업을 위임받았을 때 사용합니다.
함수
하나의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설계된 코드의 집합입니다.
즉, 함수가 여러 작업을 위한 기능이라면 프로시저는 작업을 정리한 절차입니다.
보통 로직을 도와주는 역할이며, 간단한 계산, 수치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매개변수
프로시저
매개변수를 입력,출력,입출력 형식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함수
매개변수를 입력 형식으로만 받을 수 있습니다.
반환값
프로시저
반환값을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함수
반환값을 반드시 가져야 합니다.
쿼리문 내에서 실행가능
프로시저
SELECT,WHERE 문 등에서 사용 불가합니다.
함수
SELECT,WHERE 문 등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처리 장소
프로시저
클라이언트(화면)에서 값을 건네받아 서버에서 작업을 한 뒤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
즉, 서버에서 실행이 되어 속도면에서 빠른 성능을 보여줍니다.
함수
클라이언트(화면)에서 값을 건네 받고 서버에서 필요한 값을 가져와서 클라이언트에서 작업을 하고
반환합니다.
즉, 클라이언트(화면)에서 실행이 되어 프로시저보단 속도가 느립니다.
오늘 운동
- 가슴
내일 공부
728x9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RequestParam
- reactStart
- 받아오기
- CheckBox
- C
- C언어
- selectbox
- React
- ID
- JPA
- SCP
- 아이디
- @Builder
- reactApp
- findFirstBy
- react 시작 오류
- mircrosoft visual studio
- 씹어먹는 C 언어
- commit 에러
- App
- 다른데서 react
- 다중체크박스 처리
- 셀프로젝트
- optional
- @reqeustBody
- 체크박스
- 셀렉트박스
- 제약조건
- th:selected
- 서버전송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